■ 진행 : 이광연 앵커, 박석원 앵커 <br />■ 출연 : 김경우 /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최근 이례적인 고온 현상과 장마가 겹치면서 온열질환자와 식중독 의심환자가 예년에 비해서 급증하고 있습니다. 전문가와 함께 올여름 건강히 나는 방법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. 김경우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나오셨습니다. <br /> <br />계속 이례적인 기상 변화, 날씨 얘기하면서 몸도 또 거기에 맞춰야 하지 않겠습니까? 그러다 보니 지금 날씨에 민감해지면서 몸도 괜히 안 좋다 이런 얘기를 하는데 날씨 영향을 많이 받나요? <br /> <br />[김경우] <br />그렇습니다. 날씨가 덥기 때문에 특히 더위에 노출되시게 되면 정상 사람들은 고온에 노출돼도 충분히 적응하시는 기전이 있는데 그것을 벗어날 정도로 체온이 올라가거나 또 탈수가 진행되시게 되면 무력감이나 실신과 같은 온열질환이 생기실 수도 있겠고요. <br />또 비가 많이 오고 장마철이 되게 되면 또 의외로 바닥이 미끄럽거나 또 신발이 미끄러워서 낙상이나 열상, 골절, 타박상 이런 것들도 많이 생기시고 또 슬리퍼 신게 되면 발가락 같은 손상도 많이 생기시고요. 또 자외선이 많이 높기 때문에 일광화상이라든지 피부질환 또 각막 질환 같은 것들도 많이 생기실 수가 있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특히 올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서 온열질환자가 4배 넘게 치솟았다고 하는데 온열질환 어떤 질환이고 어떤 증상이 있는지도 설명을 해 주시죠. <br /> <br />[김경우] <br />대표적인 것이 열탈진이라는 병이 있는데요. 더위에 너무 노출이 됐을 때 뭔가 쉬고 싶고 피곤하고 또 어지럽고 이런 증상이 생기실 수가 있겠는데 만약에 그런데도 더 진행되게 되면 우리가 체온이 특히 중심체온이 40도 이상 많이 높아지면서 또 우리가 체온조절을 위해서는 땀을 흘리셔야 되는데 흘리실 땀이 없으실 정도로 심한 탈수가 되거나 또 발한에 장애가 있으실 때 체온이 올라가면서 의식저하까지 생길 수 있는 또 우리가 열사병까지도 생기실 수가 있겠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열사병 같은 경우에는 사망하실 수도 있는 위험한 상황이기 때문에 체온이 너무 높아지게 되면 의식 소실과 더불어서 여러 가지 장기의 부진, 심장이라든지 콩팥이라든지 이런 데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인해서 사망하실 수도 있기 때문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722170246693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